분류 전체보기(2192)
-
진달래 미술관 2018.12
J. MUSEUM 대지의 경계를 따라서 선을 긋고 숲을 향해서 몇 개의 마당을 만들면서 공간이 만들어지기 시작 한다. 그림을 거는 전시실 매스를 3개 배치하고 그 사이는 투명한 유리로 처리하여 이동 동선을 해결했다. 그림을 설치하는 공간은 다양한 바닥레벨을 통해 층간의 경계를 유연하게 만들었으며, 카페 공간 역시 여러 개의 바닥 레벨을 만들면서 공간을 하늘과 숲으로 향하게 만들었다. 진달래 그림을 전시하는 공간으로서 숲속의 미술관이 되기를 기대하고 착공신고까지 했으나, 건축주의 사정으로 보류하게 됐다. 현재는 형식과 내용, 규모를 대폭 축소하여 갤러리 카페로 다 시 설계를 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Space begins to be created by drawing a line along the boun..
2022.12.09 -
2018 한국건축문화대상_준공건축물부문 2018.11
Korean Architecture Awards 2018
2022.12.09 -
광주전망대 2018.12
Gwangju Observatory 광주에는 공공이 아닌 민간이 운영하는 전망대(휴게소)가 있다. 할아버지가 시작해서 어머니로 그리고 그 아들까지 이어져 운영되고 있다. 아들은 돌아가신 어머니와의 약속을 이루기를 원했다. 광주시민과 함께할 수 있는 작은 쉼터가 되기를 간절히 바랬다. 온가족이 함께 산책할 수 있는 마당과 더불어 젊은 문화예술인에게도 개 방된 야외 공연장을 갖추고 싶어 했다. 또한 수십 년을 함께한 느티나무도 남기길 원했다. 지하는 그들의 주택, 1층은 소매점과 작은 전망대, 2층은 소매점과 휴게음식점, 중간의 전망대, 그리고 지붕은 커다란 전망대로 계획했다. 건물매스 이곳저곳을 개방하여 지나는 어느 누구에게도 커다란 탁트인 시야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다양한 테라스를 만들어 자연을..
2022.12.09 -
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 2018.12
Art Complex, Pyeongchang-dong, seoul 평창동 미술문화복합공간은 일반, 예술가, 학술연구자, 예술매개활동가, 예술꿈나무 등이 크고 작은 공식·비공식의 배움, 연구, 전시활동을 통해 살아있는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플랫폼이 될 수 있는 공간이다. 분산된 각각의 부지에 적합한 레벨과 규모에 요구되는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수용하여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고 각 동의 독립된 기능은 시각적, 상징적으로 응집되면서 상호 연속, 지역으로의 확장성을 지니도록 연결동선을 구축하여 미술문화공간의 커뮤니티를 조성하 도록 했다. 각 동 1층은 모두 필로티를 설치하여 주차광장 확보로 접근성과 함께 진입개방감과 공공광장의 성격을 지닌다. 특히 주동으로서의 가동에서 필로티 중간은 뒷편 자연환경과 연계되며, 나동 ..
2022.12.09 -
2018 한국건축문화대상 2018.11
Korean Architecture Awards 2018 계획건축물부문
2022.12.09 -
슈퍼그라운드 _ 서울 인프라 공간의 미래비전 2018.11
Superground Living Infrastructures
202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