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1379)
-
“하나의 건물은 내 것만이 아닌 모두가 향유하는 것, 공공성에 기반한 건축사의 책무 커”_김원석 건축사 2019.4
"One building is not only for me but for everyone's enjoyment. Great responsibility of architects based on public interest." Q 한창 활동시절 어떠셨는지요? 김수근 건축사와의 인연은 69년도부터 입니다. 69년 엑스포 오사카 박람회 때부터 돌아가실 때까지 함께 했죠. 공간건축이 13명으로 시작되어 종로구 원 서동에 사옥을 71년 완성해 입주했습니다. 옛날엔 손수 도면을 그려 일을 했는데, 요즘은 컴퓨터로 도면을 작성하는 걸 보면 젊은 날의 향수가 나질 않아요. 70년대부터 컴퓨터로 작업을 했는데, 공간이 거 의 처음 도입해 운영했죠. 60∼70년대에는 해외작업에도 눈을 돌렸습니다. 75년 도부터 이란 테헤란..
2022.12.19 -
한국 현대 건축의 미부(美浮)- 두 사람의 작가 2019.4
Emergence of beauty in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 Two artists 편집국장 註 1974년 10월 ‘월간 건축사’에 글이 하나 실렸다. 건축 작품이 정치사회적 논쟁의 중심에 섰던 최초이자 마지막이 아니었던가 싶은 김수근의 에 대한 일본풍 논쟁이었다. 논쟁의 발단은 한참 선배인 김중업의 언급에서 시작됐다. 한국 현대 건축의 시작점에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를 일 본을 거쳐 배운 김수근과 유럽의 르 코르뷔지에 말년 3년을 같이 한 김중업의 논쟁이었다. 일본풍은 이라는 자극적 표현 때문에, 독립된 지 얼마 안 된 우리 정서로는 매우 민감한 부분이었고 사회적으로 파란이 일었다. 여러 사람들이 논쟁에 가담했었는데, 이런 논쟁이 단 몇 차례로 끝나고 이어지 지..
2022.12.17 -
마드리드 문서 센터 / 도서관 1994-2002스페인 마드리드 건축사 Mansilla Tunon 2019.4
MADRID DOCUMENTATION CENTRE/LIBRARY. 1994-2002. Mansilla Tunon Architects, Madrid, Spain 이번 호에 소개할 작품은 스페인 마드리드에 위치한 ‘El Aguila’의 복구 및 부분 적 신축 프로젝트인 ‘도서관 및 아카이브’다. ‘El Aguila’는 1994년에 산업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던 맥주를 만들던 공장 이름이다. 마드리드 시에서 이의 산업 건축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자 현상 공모전를 냈고, 마드리드의 건축사 그룹 인 Mansilla & Tunon architects가 당선되었다. 1994년 현상 설계부터 2002 년 완공까지 8년에 걸쳐서 복구rehabilitaion 작업 및 신축 공사가 진행되었다. 공장과 같은 산업 건물의 역..
2022.12.17 -
過去, 現在, 그리고 未來가 공존하는 항구도시 釜山 2019.4
한반도의 남쪽 끝에 위치한 부산. 국제적 항구도시이자 우리나라 제2의 도시 로 위용을 자랑한다. 역사적으로도 수많은 애환과 질곡을 품으며 도도히 발전 을 이룩해 왔다. 수많은 외세의 침탈의 경로가 되었던 적도 있었고, 6·25전쟁으로 인한 피난민 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한반도 각 지역의 문화적 합류점이 되기도 했다. 70∼ 80년대의 눈부신 경제성장 동력의 발판이 되어 태평양으로 무한히 뻗어나가 는 우리나라 국력과시의 출발점이자 거점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뱃고동 소리와 함께 바다가 있는 낭만도시에는 오늘도 각자의 생활을 위한 힘 차고 생기 넘치는 발걸음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밤이 되면 밤바다와 함께 현란한 도시의 야경이 펼쳐지며 드라마틱한 풍광이 펼쳐지기도 한다. 6·25 참전 미군들이 야간에..
2022.12.17 -
“지금까지 이런 거리는 없었다. 카페거리인가, 맛집거리인가, 동명동 카페거리” 2019.4
"This street is the first time in history! Is it a café street or a best restaurant district? Dongmyeong-dong café street 광주 동구 동명동은 최근 젊은이들이 좋아할 만한 카페들이 들어서면서 활기를 더해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 대중에게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곳이기에, 새로운 공 간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이 글은 굉장한 노다지가 아닐 수 없다. 동명동 구도심 재생의 중심거점으로 동명동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조성된 고급 주택가였다. 당시 몇몇의 일본 인 상인들이 광주를 찾았으며, 근처 목포가 개항하면서부터 이들의 수는 큰 폭으 로 늘어났다. 고급 주택들과 오래된 한옥들이 함께 어우러져 있는 지역으로 당시 광주에..
2022.12.17 -
베르사이유 VS 수원 화성 2019.4
The Palace of Versailles vs Suwon Hwaseong 광화문 광장이 건축계의 뜨거운 이슈가 되었고, 정치적 관심에 따라 논쟁의 중심 이 되었다. 건축계도 정치적 관심에 따라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은데, 조금 아쉽 다는 생각이 들었다. 건축계는 전문가 집단이기 때문에 본인들의 정치적 성향보 다는 건축적인 시각과 내용으로 논쟁을 했으면 어떨까 하는.. 그런데 정말 건축은 정치와 관련이 없을까? 실상 그렇지 않다. 건축은 정치의 가장 첨예한 표현이고 권력의 중심 도구로 활용된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동일하다. 에서 상영 중인 프랑스 미니시리즈 ‘베르사이유’는 건축이라는 배경이 어떻게 통치권력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이용되었는지 세밀하게 보여준다. 절대 권력자로 알려진 루이 14세는 사실 ..
2022.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