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은 형태를 따른다 2022.12

2022. 12. 21. 12:55아티클 | Article/디자인스토리 | Design Story

Function is subject to a form

 

루이스 설리번의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Form follows function)”는 말은 모 더니즘을 대변하는 가장 유명한 명제다. 의자는 사람의 엉덩이를 받칠 수 있는 평평한 좌석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적당한 높이에 좌석을 고정시키려면 다리가 필요하다. 다리가 좌석을 안정적으로 받치려면 최소한 3개가 있어야 한다. 그렇 게 스툴이 탄생한 것이다. 다리 세 개를 가진 스툴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명제를 잘 실현시키고 있다.

 

친구들과 산행을 할 때면 늘 목격하는 장면이 있다. 산에 올라가다 보면 어디에 서나 평평하고 넓은 바위가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런 넓고 평평한 바위가 길목 에 나타나면 여지없이 가방과 장비를 내려놓고 엉덩이를 바위 위에 주저앉히는 것이다.<사진 1> 그 행위는 의식적이라기보다 무의식에 가깝다. 내 육체가 힘든 상태에서 앉기 좋은 돌이 나타나자 돌이 나의 육체로 하여금 쉬는 행동을 취하게 한 것이다. 이것을 ‘행동유도성(affordance)’이라고 말한다. 평평한 사물은 그 위에 뭔가를 올려놓거나 앉도록 유도한다. 

 

<사진 1> 산의 길목에 있는 넓고 평평한 바위는 의자와 물건 올려놓는 기능이 있다.

산에서는 그렇게 행동을 부르는 사물을 심심치 않게 발견한다. 나무로 만든 사인 물 하나가 내 눈에 들어왔다.<사진 2> 이 사인물은 나무 중간에 걸려 있다. 못으 로 박아 고정시킨 것이 아니라 나무의 잘린 가지 위에 살짝 걸쳐 놓았다. 잘려나 간 나뭇가지가 사람으로 하여금 사물을 걸쳐 놓는 행동을 부른 것이다. 계곡물이 흐르는 산의 초입에는 넓고 평평한 바위가 드넓게 펼쳐 있다. 이 바위 위에는 여러 사람들이 새긴 이름으로 가득하다.<사진 3> 평평하고 단단한 바위는 그 위에 이름을 영원히 남기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망을 부추긴 것이다. 산을 다 내려오니 나무 막대기가 가로등 기둥에 기대 있는 것이 보인다.<사진 4> 누군가가 산중에 서 지팡이 대용으로 사용하다 산행이 끝난 뒤 쓸모가 없어져 버린 것으로 보인 다. 이것을 사용한 사람은, 약간 휘어지긴 했지만 1미터가 조금 넘는 나무 막대기 에서 지팡이의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다. 

 

<사진 2> 나무 사인물이 나무의 잘려진 가지 위에 걸쳐 있다.

 

<사진 3> 계곡 바닥에 드넓게 평평한 바위가 펼쳐져 있고, 그 위에는 수많은 이름들이 새 겨져 있다.

 

<사진 4> 한때 산 오르는 사람의 임시 지팡이로 쓰이다가 버려진 나무 막대기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이 있다. 형태가 기능을 따르기 이전에 형태에서 기능을 발견하는 일이 먼저 일어난다는 사실이다. 왜 형태가 기능을 따르기 이전에 기능 적 형태를 발견하는 일이 먼저일까? 초기 인류에게는 기술이 없었기 때문이다. 마치 산에 올라가는 사람들에게 기술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산을 오르는 사람 이 지팡이가 없다고 해서 산속에서 지팡이를 만들어낼 수 없는 노릇이다. 마찬가 지로 다리에 힘이 빠졌다고 의자를 만들어낼 수도 없다. 그러니 임시변통으로 필 요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대용품을 ‘발견’하는 일 외에는 기대할 것이 없다.

 

초기 인류는 칼 같은 도구를 만드는 것에 앞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돌을 발 견했을 것이다.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돌이 인류 최초의 돌칼이 되었을 것이 다. 따라서 기능은 형태를 따른다고 말할 수 있다. 기능은 형태 속에서 그 잠재적 가능성을 숨긴 채 있다. 특정한 형태에서 기능을 발견하는 일이 인류가 한 최초 의 창의적 디자인이 아니었을까? 인류는 보잘것없는 기술력이 생기자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돌을 만들기로 한다. 대체로 평평한 돌을 가져와 다른 돌로 깨뜨 려가면서 날카로운 면을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바로 이 시점부터 형태는 기능을 따르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해 보면 형태가 기능을 따르려면 ‘기술 력’을 갖고 그렇게 다듬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명 제는 좀 더 앞선 문명에서 가능한 일이다. 인류는 기술력에 더해 조직화의 능력 까지 갖춘 뒤 단순한 칼은 물론 우주선까지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그 출발은 대단히 미약해 보이는 ‘기능적 형태의 발견’에 있다.

 

<사진 5> 넓은 나무 판자 위에 &lsquo;밝지 마세요&rsquo;라는 문구가 붙어 있다.

이러한 인류 최초의 창의적인 디자인, 즉 기능적 발견은 고도로 발전한 문명세계 에서도 흔히 일어난다. 이미 산을 오르는 사람들의 사례에서도 밝혔지만, 산이 아 닌 곳에서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어느 잡지사의 미팅룸에 갔더니 넓은 나무 판자가 바닥에 놓여 있다.<사진 5> 판자 위에는 ‘밟지 마세요’라는 문장을 프린 트한 종이가 놓여 있다. 아마도 그 위에 올라간 사람이 있었던 모양이다. 그 사람 은 어린아이일 가능성이 높다. 아이들은 재료나 높이가 다른 사물을 보면 무의식 적으로 위로 올라가 밟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비가 오는 날이었다. 카페에서 사람을 기다리고 있었다. 만나기로 한 사람이 카 페로 들어오더니 아주 자연스럽게 플라스틱 구조물에 뚫린 구멍 속에 우산 손잡 이를 집어넣는다.<사진 6> 플라스틱 구조물은 우산 꽂이가 아니라 다른 용도의 물건이었다. 손에 우산이 들려 있었고 그것을 안정적으로 놓아둘 곳을 찾았는데, 마침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구조물이 눈에 들어왔다. 적당한 크기로 뚫린 구멍에 서 기능을 발견한 것이다. 이 경우 아이들이 재료와 높이가 다른 나무판자 위에 올라가고자 하는 무의식적 욕망과는 다른 기능적 발견이 보인다. 그것은 심란함 과 절박함이다. 마음속에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심란함과 절박함이 있다. 그런 불만족스러운 마음이 무언가를 찾게 만든다. 절박하게 찾는 사람은 다른 사 람보다 사물에 숨어 있는 잠재적 기능을 발견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사진 6> 플라스틱 구조물에 뚫린 구멍에 우산 손잡이를 집어 넣었다.

 

어느 빌라의 입구에 우편함 기능과 함께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이 갖춰진 금속 구 조물이 있다.<사진 7> 이곳에 사는 사람이 식물 기르는 것을 무척 좋아하는 모 양이다. 그 위를 알뜰하게 식물 화분 받침대로 사용하고 있다. 화분 놓을 장소를 찾고자 하는 그 절박함에 응답해 사물은 자신의 숨겨진 재능을 알려주었다. 현대 인은 누구나 “기능은 형태를 따른다”는 명제를 삶 속에서 실천하고 있다. 고도로 발전한 문명세계지만, 어떤 면에서 원시 인류의 창의성은 여전히 실천되고 있다 고 말할 수 있다. “기능은 형태를 따른다”는 “형태를 기능을 따른다”에 앞선 삶의 진리다.

 

<사진 7> 빌라 입구 우편함 위가 화분들의 받침대가 되었다.

 

 

 

 

 

 

 

 

글. 김신 Kim, Shin 디자인 칼럼니스트

 

김신 디자인 칼럼니스트

 

홍익대학교 예술학과를 졸업하고 1994년부터 2011년까 지 월간 <디자인>에서 기자와 편집장을 지냈다. 대림미술 관 부관장을 지냈으며, 2014년부터 디자인 칼럼니스트로 여러 미디어에 디자인 글을 기고하고 디자인 강의를 하고 있 다. 저서로 『고마워 디자인』, 『당신이 앉은 그 의자의 비밀』, 『쇼핑 소년의 탄생』이 있다.

 

 

 

kshin201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