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1379)
-
건축계소식 11월 2023.11
‘2023 대한민국 건축의 날’ 기념행사…김종성 선생 동탑산업훈장 수훈 ‘건축, 문화를 이끌다’ 주제로 열린송현 녹지광장서 개최 한국건축단체연합(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대한건축학회)은 10월 20일 서울 종로구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건축, 문화를 이끌다’라는 주제로 ‘2023 대한민국 건축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건축의 날’은 우리 민족의 역사적 건축물인 경복궁 창건일을 기념해 제정됐으며, 지난 2005년부터 건축인의 화합과 단결을 도모하고 책임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9월 25일 전후로 ‘건축의 날’을 기념해 오고 있다. 올해로 19회를 맞는 건축의 날은 국민들에게 건축을 안전하게 누릴 수 있는 건축의 의미를 되새기고, 건축사와 건축 관련 업계 관계자들에게 활력과 영감을 더하자는 취지로 진..
2023.11.30 -
건축사님의 관심을 표현해 주세요.구독과 좋아요! 2023.10
Please express your interest as an architect. Subscribe and Like! 월간 건축사지 그리고 대한건축사신문은 회원 건축사에게 꼭 필요한 정보와 협회 활동에 관련된 뉴스, 작품소개 등 유익한 내용을 전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만들어진 다양한 기사들이 좀 더 많은 분들께 의미 있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건축사사무소와 주요 기관에 우편으로 발송되고 있으며, 각각의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전달되고 있다. 건축사님들을 만날 때 가장 기쁜 것은 월간 건축사지와 대한건축사신문을 열심히 읽어주시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주실 때인데 건축사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해주실 때 이를 제작하는 많은 분들을 대신하여 감사의 마음을 가진다. 여기에 더해서 네이버 포스트, 페이스..
2023.10.31 -
2025년 제21차 아시아건축사대회 인천 유치 확정“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건축사 2025년 인천서 한자리에” 2023.10
Incheon has been confirmed to host the 21st Asian Congress of Architects in 2025 “Asian architects from Korea, China, and Japan, etc. will gather in a single place in Incheon in 2025” 대한건축사협회·인천광역시가 2025년 제21차 아시아건축사대회를 유치했다. 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 지역 22개 건축사단체 연합인 아시아건축사협의회(ARCASIA)는 지난 9월 21일 필리핀 보라카이에서 차기대회 개최지 선정을 위한 이사회를 열었다. 이날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인천광역시를 2025년도 개최지로 결정했다. 이번 유치로 대한건축사협회는 1988년 제3차 대회(서울)와 ..
2023.10.31 -
“지역 발전과 지역민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연결고리 될 것” 이정연 건축사 2023.10
I AM KIRA 건축사사무소의 미션은? 사무소 명칭인 리우는 오얏 리(李)와 집 우(宇)를 합쳐 만들었습니다. 사람이 모이는 최소의 공간이자, 더불어 사는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공간인 집을 만들고자 하는 바람을 담았습니다. 저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 뒤 고향인 충청남도 금산군에 터를 잡았습니다. 타 지역에서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할 수도 있었지만 고향에서 지역민을 위한 건축을 하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 발전과 지역민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연결고리가 되고자 합니다.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은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초등학교와 여자 중학교를 사전 기획했던 프로젝트입니다. 학생, 교사, 교직원, 학부모 등 건축 실 사용자와 워크숍을 통해 학교 현실에 맞도록 협의를 진행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2023.10.31 -
[공간공감] “기억하고, 반성하고, 다시 불붙는” 2023.10
Remember, Repent, Rekindle
2023.10.31 -
“건축 미학, 건축과 지구·인간과 환경에 대한 고찰과 모색으로 빛날 수 있어” 2023.10
“Architectural aesthetics may shine through the consideration and exploration of architecture, the earth, humanity, and the environment.” 안톤 가르시아 아브릴-소피아 본 에릭사우센-마우리시오 페소 대담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참가로 방한 경기도 양평에 조성 예정 ‘메덩골 정원’ 건축 프로젝트 참여 재료적·건축 법률적 한계 등 제한된 요소 안에서 아키텍트만의 가치 창출해 내는 것 중요 자연과 건축의 관계를 탐닉해 온 아키텍트 마우리시오 페소(Mauricio Pezo)와 소피아 본 에릭사우센(Sofia bon Ellrichshausen), 그리고 안톤 가르시아 아브릴(Anton Garcia-Abr..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