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 Article/인터뷰 | Interview(124)
-
“건축계 부족한·불합리한·불비한부분 고쳐나갈 것…제도를 어떻게하면 혁신적으로 바꿀지 심도있게 논의중”_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2019.1
"Planning to correct irrational and insufficient points in the architecture world... In-depth discussions are going on how the system can be changed in an innovative manner." “사실 국가건축정책위원장 책임을 떠안는 것에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작금 건 축의 본질에 관해 꽤 진지하게 논하는 결정권자들이 많아진 상황에서 직을 맡은 이상 그냥 시간만 보내진 않을 겁니다. 평소 생각한 건축계의 부족한, 불합리한, 불비한 부분을 임기 중 완전히 고치진 못한다 하더라도 시작은 해놓고 끝내려 합니다.” 작년 4월 취임한 승효상 대통령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장이 국내 건축계 현안 에 대..
2022.12.13 -
“내년부터 아틀리에나신진건축사 등용문 프로그램 만들 예정_김세용 SH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 2018.12
"From January next year, we will set up a system of cooperation by operating a Pool of 'green-light architects' and concentrate our efforts on enhancing space welfare “SH공사(서울주택도시공사)가 내년 1월부터 ‘청신호 건축사’라는 이름으로 전문가 인력풀 (Pool)을 운영하고, 매입임대를 늘려 신축·리모델링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할 계획입 니다. 그동안 SH공사가 ‘주거복지’에 주력해 왔는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을 결합해 앞으로 는 한 단계 발전한 ‘공간복지’로 정책기조를 확대하려 합니다. 이 일을 수행키 위해서 도시설계 가, 조경가도 투입될 것입니다.” 김세..
2022.12.11 -
“비평·역사를 해체·파편화시키는 게 ‘전시기획’… 건축담론 활성화되도록 전시매체 적극 활용해주길”_정다영 학예연구사 2018.10
"It is the exhibition’s plan to disassemble and fragment for criticism and history... It is hopped to utilize the exhibition media actively in order to promote architectural discourse" 국립현대미술관은 김중업건축박물관과 공동주최로 건축사 김중업을 조명하는 ‘김중업 다이얼 로그’전을 8월 30일부터 12월 1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중앙홀과 2전시실에서 열고 있 다. 그가 설계한 30여 년간의 건축물과 관련된 사진과 자료 3000여 점이 전시중이다. 전시는 학예연구사의 안목과 해석작업이 중요하다. 역사와 문화라는 재료를 요리하는 학예연 구사의 안목에 따라 그 ..
2022.12.08 -
“건축·행정에 건축사 전문성 더 많이 요구돼… 건축의 공공성 토대로 도시현안 해결해나갈 것”_진희선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 2018.9
"Architects and administrators are demanding more ... We will solve urban issues based on the public nature of architecture" 진희선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 “건축이 가진 본질적인 의무가 인간의 삶을 담는 공간, 더불어 공동체 속에서 살 수 있는 공간 을 만들어내는 것이라 할 때, 건축의 공공성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공동체간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는 공간들을 많이 만들어내는데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진희선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은 서울시에서도 손꼽히는 건축·도시전문가다. 기술고시 23회 출신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해 서울시 도시관리과장, 주거재생정책관, 주택건축국장 등을 지내 고 지난 2015년 1월부터 도시..
2022.12.07 -
“국책연구소로서 성찰 깊이 더해 미래 건축도시정책, 새로운 10년 만들어가야죠”_박소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소장 2018.08
"Adding deep introspection as a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ion, I would like to create a future architectural city policy and a new ten-year plan" “건축도시공간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우리에게 어떤 건축도시공간 서비스가 필요한지 성 찰을 통해 국민들에게 다시 공감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할 시점 아닌가요?” “대다수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설명을 제시하는 연구, 일상생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공간 환경 서비스 연구를 전개해 정책활용도와 전략의 현실성을 구체화시켜 나가겠습니다.” 환하게 웃는 표정 속에서도 단호함이 묻어나온다. 지난 5월 취임한 박소현 제5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
2022.12.06 -
세종시가 가야할 길…건축에서 답을 찾다_김인철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 총괄건축가 2018.07
세종시가 가야할 길…건축에서 답을 찾다 The Road to go through of Sejong-si, Found The Solution In Architecture 1990년대 ‘4·3그룹’은 한국 건축을 주도해온 소장파 그룹이다. 개발 열풍에 ‘건축’에 대한 국민 적 인식과 토양이 빈약한 시대, 이들은 ‘메시지가 있는 건축’을 내세우며 건축계 담론을 주도했 다. 4·3그룹에서 김인철 건축사는 전통에 바탕을 둔 공간철학인 ‘없음’을 화두로 작업해왔다. 이는 ‘형태는 기능에 따른다’라는 루이스 설리번의 말을 ‘형태는 공간을 따른다’로 바꾸어 우리 건축의 정체성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그는 건축평론가들 사이에서 건축의 본질을 추구하는 자세가 자연스럽고, 집요하며 진정성이 있다는 평을 듣는다. 머물러있지 않..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