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31. 10:45ㆍ아티클 | Article/인터뷰 | Interview
The 2024 Pritzker Architecture Prize Winner, Riken Yamamoto, “The mission of an architect is to fully uncover and maximize human sociality.”
사회성 강한 건축 철학 견지해 온 야마모토 리켄
2024 프리츠커상 심사위원
‘공동체 가능하게 하는 데 기여’ 평가
“사람들이 공존하는 커뮤니티 만드는 것이
건축 설계자의 역할”
Riken Yamamoto, who has upheld an architecture philosophy emphasizing strong social engagement. 2024 Pritzker Prize Jury: “Recognized for contributing to enabling community.” “The role of an architectural designer is to create communities where people coexist.”
“평범한 이야기를 하는데 사람들은 저를 이상주의자라고 부릅니다. 왜일까요? 공동체를 이루며 함께 사는 것이 이상으로 여겨지는 사회가 되어버린 탓이 아닐까요. 그래서 현대인들이 함께 살아가는 방법과 감각을 잃어버린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2024년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야마모토 리켄이 방한했다. 그는 혈연이 아닌 공동체 기반의 ‘지역사회권’을 대표적인 건축 철학으로 삼으며, 건축 공간을 통해 실거주자들이 공동체를 이루도록 노력해왔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 주최로 열린 강연회에서 야마모토 리켄은 ‘함께 살아가기(Living Together)’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일본 건축에는 ‘시키(Shiki)’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영어로는 문지방(Threshold)에 해당하며, 한옥의 사랑방과 유사한 공간이죠. 외부인을 맞이하고 환대하는 동시에 내부 공간을 보호하는, 즉 공용 목적으로 활용되는 공간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개인 공간에만 머물지만, 여럿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의 중요성과 활용도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야마모토 리켄은 공간의 사회적 역할과 사람 간 상호작용을 위한 건축을 탐구해왔다. 2024년 프리츠커상 심사위원단은 “공공과 사적 영역의 경계를 흐려 공동체 형성에 기여한다”는 심사평을 밝힌 바 있다. 그의 대표작들을 살펴보면,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특징이 돋보인다. 예를 들어, LH 국제설계공모에서 선정돼 2010년에 준공된 판교하우징은 그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공동주택이다. 4층 높이로 구성된 총 100가구가 거주 중인 판교하우징은 10~12가구를 한 그룹으로 형성하고, 커먼 덱(common deck)을 통해 중정을 만들어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LH에서 만든 주택에는 이웃 간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없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거주민들이 스스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현관을 투명하게 설계했습니다. 초반에는 사생활 침해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으나, 실제 생활하면서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타인과 교류할 수 있다는 점을 거주민들이 점차 인식하게 됐습니다. 준공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 판교하우징 거주민들이 저를 초대해주기도 했습니다.”
야마모토 리켄이 사회성을 중시하는 건축 철학을 지속해온 동력은 무엇일까.
“사람에게는 사회성이 존재한다고 믿고, 이를 최대한 발굴해내는 것이 건축사의 임무입니다. 공동체에 해를 끼치는 개인이나 배타적인 커뮤니티의 문제도 충분히 건축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가의 근본은 국민이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구조를 만드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공존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것이 건축 설계자의 역할입니다. 현재의 건축 접근 방식은 개인의 사생활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각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면서도 건축 공간 안에서 함께 살아가며, 문화와 생애 단계를 초월해 조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전통으로부터 배우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것이 바로 건축사의 역할입니다.”
이와 더불어 야마모토 리켄은 집을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사생활을 중시하는 이유도 주택을 거주 공간이 아닌 자산으로 여기는 인식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생각의 전환이야말로 경제적·사회적 약자의 소외를 방지하고, 국가 경제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더불어 거주지 기반의 경제활동을 위한 도시계획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그가 도시 커뮤니티에서 상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야마모토 리켄은 1986년 요코하마에 위치한 자신의 거주지인 가제보(GAZEBO)를 개방형 평면으로 설계해 이웃과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 4층 주상복합 건물의 1층에는 그의 부인이 운영하는 식당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 1월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에서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도 야마모토 리켄은 상점가와 시장을 가장 먼저 복구하기 위해 힘썼다.
“사람들이 거주지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저는 출퇴근을 하며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실패한 도시계획으로 봅니다. 도시 계획자라면 자산 관점이 아닌 커뮤니티 활성화를 고민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도시 심의위원회 역시 제약과 규제보다도 서로 돕고 교류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행복하게 사는 도시의 모습이 무엇인지 심의 과정에서 다뤄지길 바랍니다. 그래야 건축사가 자신의 철학을 담은 작품을 실현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People call me an idealist for saying something ordinary. Why is that? Perhaps it’s because our society has come to view living together in a community as an ideal rather than a norm. This makes me wonder if modern people have lost the sense and means of living together.”
Riken Yamamoto, the 2024 Pritzker Prize laureate, visited Korea. Renowned for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centered on “community rights” based on shared bonds rather than familial ties, Yamamoto has consistently strived to design spaces that encourage residents to form communities. At a lecture co-hos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Yamamoto delivered a talk titled “Living Together.”
“In Japanese architecture, there is a concept called ‘Shiki,’ which translates to ‘Threshold’ in English and is similar to the Sarangbang in traditional Korean hanoks. It is a shared space that welcomes and hosts outsiders while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private interior. Many people tend to stay confined to their personal spaces and often fail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of spaces designed for communal use.”
Riken Yamamoto has long explored the social role of space and architecture that fosters interaction among people. The 2024 Pritzker Prize jury noted his work for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realms to contribute to community building.” This emphasis on social interaction is a defining feature of his projects.
One such example is Pangyo Housing, a multi-family residential complex completed in 2010 following its selection through an LH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Reflecting Yamamoto’s philosophy, the housing complex accommodates 100 households across four stories. Groups of 10 to 12 households are organized around shared common decks, creating courtyards that serve as communal spaces where residents can gather and interact.
“In the housing projects built by LH so far, there were no spaces that facilitated interaction between neighbors. To address this, I designed transparent entrances to encourage residents to form their own communities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Initially, there was some resistance due to concerns about privacy invasion. However, over time, the residents came to realize that it was possible to protect their privacy while also engaging with others. Now, 10 years after its completion, the residents of Pangyo Housing have even invited me back to visit.”
What has driven Riken Yamamoto to consistently uphold an architectural philosophy that emphasizes social engagement?
“I believe that humans inherently possess sociality, and it is the architect’s mission to fully uncover and foster it. Even issues stemming from individuals who harm communities or exclusive groups can be addressed architecturally. The foundation of a nation lies in creating a structure where its people support one another. Therefore, the role of an architectural designer is to build communities where people can coexist.
Currently, architecture tends to overemphasize individual privacy, often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I believe we can respect individual freedom while simultaneously fostering shared living spaces that transcend cultural differences and life stages, achieving harmony within architectural environments. Architects must learn from tradition while designing a new future—this is the essence of our role.”
He also advocates for a shift in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viewing homes. He emphasizes the need to move beyond the concept of ownership, which dominates contractual society, to restore sociality and a sense of community. According to him, the focus on privacy stems from the perception of housing not as a living space but as an asset. He points out that such a shift could prevent the marginalization of economically and socially vulnerable groups while serving as a driving force for national economic growth.
He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rban planning that supports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residential communities. This is why he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shops in urban communities. In 1986, Riken Yamamoto designed his residence, Gazebo, in Yokohama with an open-plan layout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neighbors. The first floor of this four-story mixed-use building houses a restaurant operated by his wife.
In addition, following the 7.6 magnitude earthquake that struck Noto, Ishikawa Prefecture, Japan, this past January, Yamamoto prioritized the restoration of shopping streets and markets, recognizing their critical role in rebuilding the community.
“It is most ideal for people to be able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within their place of residence. I view the time and energy wasted on commuting as a result of failed urban planning. Urban planners should focus not on assets but on revitalizing communities. Likewise, urban review committees should deliberate not on restrictions and regulations, but on how to create cities where people can help and interact with one another. I hope the review process considers what it means to build cities where people can live happily. Only then can architects realize works that embody their philosophies.”
인터뷰 야마모토 리켄 건축사 Riken Yamamoto Riken Yamamoto & Fieldshop
글 · 사진 조아라 기자
'아티클 | Article > 인터뷰 |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 엠 키라_“이견이 없는 건축…건축주 의도 명쾌한 건축적 해법으로 풀어낼 것” 건축사 박성욱 2024.12 (0) | 2024.12.31 |
---|---|
“친환경과 지속 가능성 고민 깊었던 작품들이 트렌드 형성” 건축사 인의식 2024.12 (0) | 2024.12.31 |
아이 엠 키라_“스스로에 자부심 갖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이루려 합니다” 건축사 임경남 2024.11 (0) | 2024.11.30 |
아이 엠 키라_"건축은 미래도시 비전 제시하는 역할…사명감 가지고 도시 프로젝트 수행" 건축사 우지현 2024.11 (0) | 2024.11.30 |
10년의 서울을 담다 “서울 풍경 그리며, 나를 만든 시간” 건축사 임진우 2024.11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