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1. 30. 10:15ㆍ회원작품 | Projects/Culture
Sailing LIBRARY
공간복지
공급자의 시대에서 사용자의 시대로 전환되면서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사항은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공급자의 시대에는 거주공간의 면적, 채광과 조망, 방의 개수, 발코니의 크기 등이 아파트의 가격을 책정하는 척도였다면 사용자의 시대에는 이보다 더 다양한 가치 수단들(넓은 커뮤니티 공간과 조경공간, 효율적 주차공간 등)이 등장하며 세대별, 지역별로 그 수단은 변화된다. 분양아파트의 경우 주거환경의 가치가 점점 상승하고 있지만, 임대아파트는 임대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자생적 가치 창출의 의지는 줄어들며 외부 상황, 즉 공급자의 자본 상황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본 계획의 대상지인 가양8단지 임대아파트 관리동 역시 같은 문제에 직면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노후화되고 있는 임대아파트를 어떻게 재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공간복지’라는 개념이 탄생했다. 이는 단지 내 방치된 실내외 유휴공간을 발견하고 재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단지의 거주환경을 개선하려는 의지이다. 작은 공간이 큰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희망의 지표이기도 하다.
잠재공간
가양8단지 임대아파트는 준공 후 30년이 지난 노후 단지이며, 1,110세대가 거주하고 있지만 커뮤니티 시설은 관리동 건물이 유일하다. 지하 1층~지상 2층의 규모이며 지하에는 기계전기실, 지상 1층에는 경로당과 관리사무소, 지상 2층에는 3년 전부터 폐업한 독서실이 그대로 방치된 상황이었다. 가양8단지의 중심부에 위치한 기존의 관리동은 30년이라는 시간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채 건물로서의 삶을 다한 듯 숨죽여 때를 기다리는 듯 보였다. 존치 이유를 알 수 없는 정면부에 노출된 콘크리트 기둥과 보는 몇 번인가의 덧칠로 기괴함을 돋보이게 하였고, 몇 년 전부터 방치된 2층 독서실은 쓰레기장을 방불케 했다. 단지를 관리해 주민들이 소통하는 유일한 공간이 다시금 살아 숨 쉬며 주민들을 설레게 할 수는 없을까? 잠재공간을 일깨우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낯선 건축과 종이배
발주처인 SH서울주택도시공사는 2층 독서실 공간을 작은 도서관으로 변경하고 리모델링에 따른 구조보강과 외관 개선을 요청했다. 우리의 과제는 기존의 건축을 남기면서 단지 내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창조하고 조형을 재정립하는 것이었다.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사람들에게 이목을 끌 수 있는 낯선 건축을 만드는 것이다. 호기심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건물에 다가가 들여다볼 수 있는 건축이 필요했다. 그리고 도서관에 걸맞은 건축이어야 했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어떤 지식을 탐험하는 여행의 여정과도 같다. 도서관은 어쩌면 여행과도 닮아있다. 지식을 탐험하는 공간의 조형으로서 작은 종이배를 생각했다. 하지만 건축의 재미는 모호함에 있다. 누군가에겐 종이배로, 범선의 돛으로, 반짝이는 보석으로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흥미로운 건축이 되길 의도했다.
공간 이야기
설계자, 입주자, 관리자가 머리를 맞댄 여러 차례의 협의를 통해 1층 기존 시설은 존치하면서 경로당 내부 공간은 재정비하게 되었고, 진입공간, 로비공간, 2층을 새롭게 탄생시켰다. 단지 내 입주자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방문해 생기를 더할 수 있도록 도서관 겸 북카페를 주요한 프로그램으로 배치하고, 입주자 요청사항을 적극 반영해 다양한 운동시설이 구비된 헬스케어공간과 문화강좌 등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실을 계획했다.
도서관은 여행을 떠나는 배의 스트럭처(structure)를 모티브로 아치 형태를 반복적으로 배치했다. 아치 스트럭처는 도서관의 주요 요소인 책장 역할을 하며, 블루톤의 색상 변화를 통해 다이내믹한 파도의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도록 했다. 아치 책장의 사이에는 소파형, 창가형 좌석공간과 경사선반 타입의 책장을 계획해 다양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고 재미있는 공간구성을 완성할 수 있도록 했다. 도서관의 중앙부 또한 긴 테이블과 작은 테이블, 테이블형 전시책장을 배치해 공간에 재미와 함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했다.
여행도서관의 맞은편이자, 리프트에 인접한 공간에는 헬스케어룸과 프로그램실을 배치했다. 미세먼지로 인한 외부 운동의 대체, 경로당에서의 쉬운 접근, 노약자가 많은 가양8단지에서는 가장 필요한 시설임에 분명하다. 인지디자인을 적용한 옐로 원색을 공간 전반에 사용해 활기차고 긍정적인 분위기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외부는 정면에 노출된 기둥과 보를 제거하고, 경로당 외부에 설치된 노후된 데크도 재정비했다. 외장 치장벽돌은 철거 없이 화이트 페인트로 칠하고 8개의 마름모 형태로 구성된 종이배의 돛은 타공복합패널과 EX메탈패널을 조합해 기존 건물이 은은하게 보일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리모델링 건축의 의미가 강조될 수 있도록 했다.
틈새의 건축, 희망의 건축
우리 도시와 건축은 나이를 먹는다. 출산율 감소와 인구 절벽 시대가 지속될수록 방치된 땅과 공간은 점점 늘어날 것이다. 도시의 피할 수 없는 숙명에 대해 건축은 어떤 대답을 해야 할까? 틈새가 아니었지만 시간 속 틈새에 갇혀 있었던 가양8단지 관리동은 건축사와 사용자, 관리자의 노력에 의해 다시금 태어났다. 단순한 리모델링 작업이 아니었다. 방치된 유휴공간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해석의 작업이었다. 본 프로젝트는 경쟁과 성장 중심의 패러다임에 빠져 빈틈을 만들어내고 채우지 않고 있던 도시공간에 대한 새로운 요구이자 해답이었으며, 첨단의 도시 이면에 숨겨지고 버려진 삶과 공간에 대한 고민의 시작점이었다.
Spatial welfare
As we transition from the era of providers to the era of users, the requirements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complex. In the era of suppliers, the area of living space, light and view, the number of rooms, and the size of balconies were the measures that set the price of an apartment, but in the era of users, more diverse means of value (large community space, landscape space, efficient parking space, etc.) appeared, and the means changed by generation and region. In the case of apartments for sale, the value of the living environment is gradually increasing, but what is the situation of rental apartment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leasing, the willingness to create spontaneous value diminishes and we have no choice but to depend on external circumstances, i.e., the capital situation of the supplier. The management building of the rental apartment building of Gayang 8 Complex, which is the target of this plan, is also facing the same problem. The concept of 'spatial welfare' was born by thinking about how to regenerate rental apartments, which are aging over time. This is the will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complex through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recreating the neglected indoor and outdoor idle spaces in the complex. It's also an indicator of hope that a small space can make a big difference.
Potential space
The rental apartment complex in the Gayang 8 complex is an aging complex 30 years after its completion and houses 1,110 households, but the only community facility is the management building. The first basement floor and the second floor of the building were left untouched, with a mechanical and electrical room in the basement, a pathway hall and management office on the first floor, and a reading room on the second floor that had been closed for three years. The existing management building,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ayang 8 complex, seemed to be waiting with bated breath for the time as if it had finished its life as a building with traces of 30 years. The exposed concrete pillars and beams on the façade, which have no apparent reason for existence, were painted several times to accentuate the bizarreness, and the second-floor reading room, which had been neglected for several years, looked like a garbage dump. Can't we manage the complex and allow the only space for residents to communicate so that they can come alive and breathe again and come to their excitement? Work has begun to awaken the latent space.
Unfamiliar architecture and paper boats
SH Seoul Housing Corporation, the client, requested that the reading room space on the second floor be changed to a small library and that the structure be strengthened and the exterior improved according to the remodeling. Our task was to create a space that could be actively utilized by the residents of the complex while leaving the existing architecture, and to redefine the format. The most effective way is to create an unfamiliar architecture that draws people's attention. Curiosity arose naturally, and I needed an architecture that would allow me to approach and peer into the building. And it had to be built to fit a library.
Reading a book is like a journey through some knowledge. The library is perhaps more like a trip. I thought of a small paper boat as a sculptural form of space to explore knowledge. But the fun of architecture lies in its ambiguity. The sails of the paper boat, composed of eight rhombuses, were designed to be a combination of perforated composite panels and EX metal panels to give a subtle view of the existing building, so that the meaning of the remodeled architecture could be emphasized.
Space Story
Through several consultations between designers, tenants, and managers, the existing facilities on the first floor were retained, and the library, book café, and healthcare space on the second floor were placed as major programs.
The library repeatedly arranged arches with the motif of the structure of a traveling ship. The arch structure serves as a bookcase, the main element of the library, and the color change in blue tones allows you to evoke the image of dynamic waves. Between the arched bookshelves, sofa-type and window type seating areas and inclined shelves are planned to respond to the needs of various users and complete an interesting space configuration. The central part of the library also has long tables, small tables, and table-type exhibition shelves to accommodate various needs while making the space fun.
Opposite the travel library and adjacent to the lift, there is a health care room and program room. It is clear that the replacement of external movement due to fine dust, easy access from the path hall, and the Gayang 8 complex, where there are many elderly people, are the most necessary facilities. Yellow primary colors with cognitive design are used throughout the space to create a lively and positive atmosphere.
Architecture of Niches, Architecture of Hope
Our cities and architecture age. As the birth rate declines and the population cliff continues, the number of neglected lands and spaces will increase. What should architecture say about the inevitable fate of the city? The management building of the Gayang 8 complex, which was not a niche but was trapped in a gap in time, was reborn through the efforts of architects, users, and administrators. It was not just a remodeling work, but a work of interest and new interpretation of neglected idle spaces. This project was a new demand and answer to urban space that has fallen into a paradigm centered on competition and growth. And it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inking about life and space hidden and abandoned behind the high-tech city.
여행도서관 설계자 | 홍종화 · 한태희 _ 더코너즈 건축사사무소· 건축사사무소 클라우드나인(주) 건축주 | SH서울주택도시공사 시공사 | 미래골드건설 설계팀 | 이지홍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 176 가양8단지 내 주민공동시설 주요용도 | 주민공동시설(도서관, 주민운동시설, 북카페) 대지면적 | 30,530.88㎡ 건축면적 | 288.00㎡ 연면적 | 769.50㎡ 건폐율 | 18.32% 용적률 | 202.89% 규모 | B1F - 2F 구조 | 연와조+철골조 외부마감재 | 지정벽돌, 유공복합패널, 익스팬디드메탈 내부마감재 | 도장, 지정타일 설계기간 | 2019. 01 – 2019. 07 공사기간 | 2019. 08 - 2020. 01 사진 | 송유섭 구조분야 | SH건축구조기술사사무소 |
Sailing LIBRARY Architect | Hong, Jonghwa · Han, Taehee _ The Cornerz Architects · CLOUD9 Architects Client | SH Seoul Housing and Communities Corporation Construction | Mirae Gold Construction Project team | Lee, Jihong Location | Gayang 8 complex, 176, Heojun-ro, Gangseo-gu, Seoul, Korea Program | Community facilities (library, residents' sports facilities, book cafes) Site area | 30,530.88㎡ Building area | 288.00㎡ Gross floor area | 769.50㎡ Building to land ratio | 18.32% Floor area ratio | 202.89% Building scope | B1F - 2F Structure | Brick + Steel Frame Exterior finishing | Brick, Perforated composite panel, Expanded metal Interior finishing | Painting, Tile Design period | Jan. 2019 – Jul. 2019 Construction period | Aug. 2019 - Jan. 2020 Photograph | Song Yoosub Structural engineer | SH Architectural Structural Engineers |
'회원작품 | Projects > 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그라운드 진접 2023.12 (0) | 2023.12.30 |
---|---|
조치원 1927 아트센터 2023.12 (0) | 2023.12.30 |
강아지숲 2023.11 (0) | 2023.11.30 |
들안 예술마을 창작소 2023.8 (0) | 2023.08.18 |
하동 플라이웨이 케이블카 스테이션 2023.8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