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31. 10:20ㆍ회원작품 | Projects/Culture
Jinkwansa Korean Cultural Experience Center
세상에 다가가는 종교 공간
한문화체험관은 세상을 향해 다가가려는 현대사찰의 의지가 담긴 건축물이다. 기존의 틀에 머무르지 않고 새 시대에 맞는 종교시설을 짓고자 했다. 사찰로 가는 진입로 초입에서 사람들을 맞이하는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의 건물이다. 산중에 은거하며 수행하는 기존 사찰 공간과 달리, 사회와 접하는 종교 공간으로서 개방적으로 구성했다. 전통 사찰의 품격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기능을, 외부를 향해 열린 투명한 입면과 함께 콘크리트구조와 한옥을 결합한 조형에 자연스럽게 통합시키고자 했다.
하나의 지붕 아래 통합된 전통과 현대
미음(ㅁ) 자로 힘 있게 펼쳐진 한옥 처마 아래, 중정을 품은 전통목구조의 고유한 구성과 아름다움에 콘크리트 구조의 단단함과 철과 유리의 투명함 등 현대적 건축언어를 더해, 두 개의 다른 체계를 하나의 조화된 형태로 구현하려 했다.
현대사찰의 새로운 격식을 찾다
합리적인 공간구성을 바탕으로 건축형식과 프로그램을 정합성 있게 계획했다. 지상 저층부는 현대적 구법의 개방적인 공간구성을 하고, 사찰요리의 시연·전수 공간인 중층부는 전통목구조에 투명하고 현대적인 스킨을 더했다. 상층부는 명상·수행을 위한 공간으로 정신적 공간에 어울리는 전통형식으로 구성했다. 이는 위로 갈수록 ‘속세인 사바세계에서 부처님의 극락세계에 이른다’는 건축 개념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풍경을 향해 열린 건축
다층 법당의 새로운 형식을 제안함에 있어, 조형이나 개념적인 접근보다는 건물 안에서 자연스럽게 풍경을 즐기며 정서적으로 풍부해지는 건축을 생각했다. 전통목구조와 더블스킨(double skin)을 결합해 한옥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쾌적한 환경 속에 풍경을 향해 열린 건축을 만들고자 했다.
Religious Space Approaching the World
The Korean Cultural Experience Center embodies the vision of a modern temple reaching out to the world. It was designed not to remain confined to traditional frameworks but to create a religious facility suited to the contemporary era. Located at the entrance to the temple complex, this three-story building (with an additional basement level) greets visitors as they arrive.
Unlike conventional temple spaces secluded in the mountains for monastic practices, this structure was designed as an open, social religious space. While maintaining the dignity and grace of traditional temples, it integrates various programs and functions demanded by modern society. The design combines the transparency of an open façade with the solidity of concrete structures and hanok elements, creating a harmonious and forward-looking architectural expression.
Tradition and Modernity Integrated Under One Roof
Beneath the boldly extended hanok eaves shaped in the ㅁ (mi-eum) form, the design incorporates the traditional courtyard layout and the inherent beauty of wooden structures. This is seamlessly combined with modern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the solidity of concrete and the transparency of steel and glass. The result is a harmonious integration of two distinct systems into a unified architectural form.
Finding New Dignity of a Modern Temple
The design is based on a rational spatial composition, achieving coherence between architectural form and program. The lower levels feature open, modern structural layouts, while the middle level—dedicated to demonstrating and teaching temple cuisine—combines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with a transparent, contemporary skin. The upper levels, designed for meditation and spiritual practice, adopt traditional forms suited to their contemplative purpose. This ascending progression symbolizes the architectural concept of moving from the mundane Saha World to the Buddha’s Pure Land, embodying a journey toward enlightenment.
Architecture Open to the Landscape
In proposing a new format for multi-story temple halls, the focus was less on form or conceptual approaches and more on creating an architecture that allows occupants to naturally enjoy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feel enriched emotionally. By combining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with a double-skin system, the design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hanok architecture while crafting an open structure that embraces the scenery in a comfortable and harmonious environment.
심사평
콘크리트 구조를 이용해 전통한옥의 2층 목조 법당을 1층에서 받아주고, 들어열개창 대신 폴딩 윈도우를 통해 경관을 커튼월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감싸주는 방식으로 전통창호와 현대창호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안에서 바깥을 바라다보는 차경의 원리를 이용해 주변 경관을 한문화체험관으로 끌어모으고 있다. 목구조와 콘크리트의 서로 다른 특성들을 세심한 디테일 처리를 통해 하나의 건축으로 통합시키고 있다. 한편 마당을 갖는 3층의 디귿(ㄷ) 자형 법당을 올려놓아 외부에서 내부로 다시 외부를 경험하는 놀라운 반전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우리가 사찰을 진입할 때 일주문을 지나 천왕문과 해탈문을 지나면서 각 공간의 구성이 달라지며 마침내 법당에 이르는 과정을 한 건물 안에서 수직화시켜 놓은 듯하다. 1층의 커피숍 등 복합문화공간에서 계단을 오르면 스님들의 생활공간인 대방에 오르게 되고, 다시 또 3층으로 오르면 마침내 가운데 중정이 있는 법당에 올라서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 의도는 진관사에서 관리 차원에서 마당을 내부화해 사찰의 중정 마당에서 포근히 감싸주는 듯한 느낌을 반감시키고 있다.
Commentary
Using a concrete structure, the Han Culture Experience Center supports the traditional two-story wooden temple hall from the first floor, integrating modern and traditional elements by replacing traditional wooden windows with folding windows and surrounding the structure with a curtain wall system. This approach combines traditional and modern window styles, utilizing the principle of borrowed scenery (차경) to bring the surrounding landscape into the center.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ood and concrete are meticulously unified into a cohesive architectural form. Additionally, the three-story U-shaped temple hall with a courtyard creates a remarkable spatial reversal, where the external transitions to the internal, only to re-experience the external. This approach simulates the traditional journey of entering a temple: passing through the Iljumun Gate, the Cheonwangmun Gate, and the Haetalmun Gate before finally reaching the main hall, now vertically layered within one structure. Ascending from a cultural space on the first floor, including a café, visitors reach the monks’ quarters on the second floor, and further up to the third floor, they arrive at the main hall with a central courtyard. However, due to management practices, the courtyard has been enclosed, diminishing the sense of warmth and embrace typically felt in a temple’s central courtyard.
진관사 한문화체험관 설계자 | 조정구 _ (주)구가도시건축 건축사사무소 시공자 | (주)우리문화 건축주 | 대한불교조계종 진관사 감리자 | (주)구가도시건축 건축사사무소 설계팀 | 조정구, 차종호, 양수민, 정유진, 강민재, 조가연 설계의도 구현 | (주)구가도시건축 건축사사무소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34 주요용도 | 종교시설,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 666.50㎡ 건축면적 | 392.50㎡ 연면적 | 1,561.59㎡ 건폐율 | 58.89% 용적률 | 159.74% 규모 | B1F - 3F 구조 | 한식목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외부마감재 | 육송, 스타코, 노출콘크리트, 한식기와 내부마감재 | 한식미장, 육송, 타일, 수성페인트 설계기간 | 2018. 10 - 2019. 10 공사기간 | 2019. 11 - 2021. 06 사진 | 박영채 구조분야 | (주)이든구조컨설턴트 기계설비·기계소방분야 | (주)정인엔지니어링 전기·전기소방분야 | (주)지성설계컨설턴트 |
ASLA Brewing Company Architect Junggoo Cho _ guga Urban Architecture Construction WOORI Munhwa Client Jinkwansa Supervisor | guga Urban Architecture Project team | Cho, Junggoo / Cha, Jongho / Yang, Sumin / Jung, Yujin / Kang, Minjae / Cho, Gayeon Design intention realization | guga Urban Architecture Location | 34 Jingwan-gil, Eunpyeong-gu, Seoul, Korea Program | Religious facility / Community facility Site area | 666.50㎡ Building area | 392.50㎡ Gross floor area | 1,561.59㎡ Building to land ratio | 58.89% Floor area ratio | 159.74% Building scope | B1F - 3F Structure | Korean Wooden Structure, SRC Exterior finishing | Red pine, Stucco, Exposed concrete, Korean roof tile Interior finishing | Korean plaster, Red pine, Tile, Water-based paint Design period | Oct. 2018 - Oct. 2019 Construction period | Nov. 2019 - Jun. 2021 Photograph | Park, Young Chae Structural engineer | Eden Structural Engineering Group Mechanical engineer | Jungin Engineering Co. LTD Electrical·Fire engineer | Jisung Consultant Co. LTD |
'회원작품 | Projects > 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산문화원 2024.7 (0) | 2024.07.31 |
---|---|
펀그라운드 진접 2023.12 (0) | 2023.12.30 |
조치원 1927 아트센터 2023.12 (0) | 2023.12.30 |
여행도서관 2023.11 (0) | 2023.11.30 |
강아지숲 2023.11 (0) | 2023.11.30 |